반응형
주식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당할 수 있는 상장폐지! 곧 상장폐지 시즌이 다가옵니다
2~3월이 상폐가 가장 많은 시즌이죠 어떤 종목을 사야 상장폐지를 피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상장폐지당하는 이유
국내의 대부분의 종목은 12월에 결산하기 때문에 결산보고서를 2~3월에 제출합니다
2~3월에 회계법인에서 감사를 하기에 이 감사가 잘 나와야 거래정지나 상장폐지를 피할 수 있습니다.
이렇게 공시로 감사보고서가 나오는데 감사의견에 적정이 나와야 상폐를 피할 수 있습니다.
한정이나 거절이 나올경우 주가가 점하까 지도 갈 수 있고 감사의견 부적정이나 거절이 나온다면 일단 바로 거래정지가 들어가고 7일 안에 이의제기 하지 않는다면 그대로 상폐장폐지 심사로 들어갑니다.
그래서 2~3월 특히 3월에는 3년 연속 적자인 기업은 매매를 피하고 감사보고서가 제출된 종목만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가끔 관리종목이나 동전주들중에 급등하는 종목들이 많아서 매매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수익 보려다가 상폐 맞을 수 있습니다.
그 외 상폐당하는 이유들이 있는데 파산, 회생절차, 부도, 횡령, 배임 이것들은 알기도 힘들고 진짜 재수 없으면 그냥 맞을 수 있습니다.
오늘은 상장폐지 종목을 피하는법을 알아봤습니다. 미리 알고 한다면 어이없게 거래정지나 상장폐지 당하는 일이 없을 겁니다.
반응형
'주식잡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키움증권(영웅문) 분봉 거래대금 설정 (1) | 2023.05.16 |
---|---|
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 CPI란? (0) | 2023.05.15 |
주식 조건 검색식(단타 검색기 만들기) (0) | 2023.01.23 |
권리락 배당락 뜻 권배락이란? (1) | 2023.01.22 |
주식 무상증자 호재인가 악재인가? (0) | 2023.01.19 |